이직 시 중요한 고려요소
1. 높은 연봉 2. 좋은 동료 3. 복지&문화 4. 지분(스톡옵션) 5. 회사 위치(통근 시간) 6. 커리어 개발 7. 정시 퇴근(워라밸) 8. 브랜드 인지도 9. 고용 안정성
지난 글에서는 회사 복지와 문화의 의미에 대하여 제 생각을 소개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회사 위치(통근 시간)'라는 요소가 이직을 고려할 때 얼마나 중요할지 생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회사와 집의 거리(=통근 시간)
통근 시간과 행복도가 반비례한다는 것은 통근을 해본 사람이라면 모두 공감할 것입니다. 이는 실제로 연구가 되었으며, 2014년 발간한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울시 출근통행의 질 평가' 보고서에 결과가 소개되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출근 거리가 5km 미만인 경우, 대중교통 행복지수는 73.9점이나 5~25km에서는 71.6점까지 떨어졌고, 25km 이상의 경우에는 70.1점까지 하락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통근 노선이 빽빽한 콩나물시루 같은 지옥철 라인이거나, 장시간 서서 와야 하는 광역버스라면 행복도가 훨씬 더 낮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OECD 주요국 평균 통근 시간이 28분인데, 한국은 평균값의 두배가 조금 넘는 58분을 기록(2014년)하였습니다. 그리고 잡코리아에서 2017년에 자체 설문을 한 결과는 하루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이 101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이는 많은 직장인들이 서울 근교/경인권의 부동산에 주거하고 있고, 그들의 직장은 서울 시내에 많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통근 시간이 점점 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동시에 우리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증가하고 행복지수는 떨어지고 있다고 해석됩니다.
회사가 나의 통근 시간을 결정하는 것인가? 내가 결정하는 것인가?
제가 가장 긴 시간을 통근을 했던 경험은 인턴 시절 약 100분 정도 되는 거리를 다녔던 것입니다. 여름이었고 셔츠를 입고 다녀야 해서 힘들었지만 2개월 기간의 인턴직이었기에 견딜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이후 회사를 선택할 때 '1시간 이내 출퇴근 시간'이라는 기준을 정하였습니다. 한 시간 정도의 통근 거리는 출퇴근에 대한 피로도가 조금 쌓이는 정도라고 생각하고, 주말을 잘 보내면 피로도가 해소되는 수준이라고 기억합니다. 그 이후에 출퇴근 15~20분 정도 되는 거리의 회사도 한번 다녀보았는데, 통근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정말 하나도 없고 통근 피로도도 쌓이지 않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일을 조금 늦게까지 하거나 회사 근처에서 술자리에 참석하는 데에도 부담이 적었습니다. 정말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회사 재직 처우/조건이 아주 좋은 경우에는 출퇴근 거리가 멀어도 다닐 수 있겠지만(달리 말하면 회사가 나의 통근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지만) 사실 잘 찾아보면 한시간 이내의 거리에서도 다닐 수 있는 회사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지방 순환 근무를 해야 하거나 제조업 공장에 다녀야 하는 경우는 선택의 폭이 적지만요. 저의 경우에는 집과 멀지 않은 곳에 다닐 수 있는 회사가 있었고, 취업까지 가능했기에 회사의 통근 시간을 결정 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통근 시간은 이직에 중요한 요인이다. 단, 너무 길었을 때.
만약 회사가 사무실을 옮기게 되어 집까지의 통근시간이 한 시간 반 이상이 되는 경우, 본인이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는다면 결국에는 시간이 흘러 이직/퇴사를 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통근에 대한 피로도가 풀리지 않고 계속 쌓이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는 통근 시간이 너무 긴 경우에 이직/퇴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통근 시간이 1시간 이내의 경우라면 이직/퇴사의 요인으로는 오히려 거의 작용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이직하려는 회사의 연봉, 복지/문화, 성장 등의 요인이 주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글을 읽어주시는 독자 분들도 내가 잘 일할 수 있는 곳의 회사를 잘 찾으셔서 통근거리도 줄이시고 만족하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Cheers.
'직장이야기(경력_이직_퇴사_이력서_면접) > 이직과 퇴사 준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직시 고려 요소와 우선순위는? (7)정시 퇴근(워라밸) (0) | 2022.04.29 |
---|---|
이직시 고려 요소와 우선순위는? (6)커리어 개발 (0) | 2022.04.26 |
이직시 고려 요소와 우선순위는? (4)지분(스톡옵션) (0) | 2022.04.20 |
이직시 고려 요소와 우선순위는? (3)회사 복지&문화 (0) | 2022.04.20 |
이직시 고려 요소와 우선순위는? (1)높은 연봉이 최우선? (0) | 2022.04.19 |